안녕하세요.
TonyWorks 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입니다.
바로 윤석열 정부의 청년 정책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말해볼까 합니다.
청년도약계좌를 소개하면서 기존 청년 정책이였던 청년희망적금과의 차이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.
그럼 바로 알아볼까요?
청년도약계좌(윤석열 정부)
가입 및 자격조건
- 만 19세~34세
- 총 급여 7,500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6,300만원 이하
-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
특징
- 5년 만기 해지 시 이자, 배당소득은 비과세 지원
- 월 최대 70만원 납입한도는 연간 840만원
- 의무가입기간 5년
- 의무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할 경우 감면세액이 추징돼어 혜택이 줄어듬
청년희망적금(문재인 정부)
청년희망적금?
문재인 정부 때 출시한 청년들을 위한 적금입니다.
기본 연 이율은 5% 이며, 당시 해당 은행에 따라 우대이율 적용 시 최대 6%까지 받을 수 있었고,
세제 혜택까지 포함하여 환산하면 연 10%에 해당하는 무조건 가입하는게 좋은 적금이였습니다.
가입 및 자격 조건
-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
- 직전년도 총 급여액이 3,600만원 이하
- 일정 기간 이상 국내에 거주하여 세금을 납부한 외국인도 가입 가능
- 2020년 소득이 없는 경우 가입 대상이 아님
- 가입 가능 은행 : KB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, NH농협은행, 기업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제주은행, 부산은행, 경남은행, SC제일은행
청년희망저금과 청년도약계좌의 비교
청년희망적금 | 청년도약계좌 | |
나이제한 | 만 19세~만34세 | 만19세~만34세 |
개인소득 제한 | 총 급여액 3,6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2,600만원 이하 |
6,000만원 이하 |
가구소득 제한 | 중위소득 180% 이하 | |
적금만기 | 2년 | 5년 |
월 적금액 | 최대 50만원 | 최소 40만원~70만원 |
정부지원 | 1년차 2%, 2년차 4% (최대 36만원) |
최대 6% |
장단점
장점
- 청년희망적금의 만계혜택(최대 1,110,000원)보다 700만원 더 수령이 가능
- 개인소득 제한이 좀 더 완화된 가입 조건
단점
- 5년이라는 긴 적금만기기간
- 최대 혜택을 보기 위해서는 월 70만원씩 납부해야하는 부담감
정리해보면
청년도약계좌 가입은 이번 해 6월부터 가능합니다.
월 최대 70만원 연간 840만원 납입 가능하며, 5년 만기 4,200만원입니다.
만기 최대 5000만원이며, 월 최대 납입 시 5년 뒤 800만원 정도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.
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중복 가입이나 갈아타기 여부는 논의중이므로, 발표되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.
청년희망적금의 경우
월 최대 50만원 납입 시 2년 만기 1,200만원입니다.
연 5% 적용 시 985,000원, 연 6% 적용 시 1,110,000원 정보 혜택을 볼 수 있었습니다.
현재 청년희망적금은 가입이 되지 않습니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저가 무제한 알뜰폰 요금제 추천 (6) | 2023.01.23 |
---|---|
메가밀리언/파워볼 미국 복권 구입방법 (3) | 2023.01.10 |
알뜰폰 단점 5가지 이것만 알면 됩니다. (1) | 2022.12.24 |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조건 및 한도 (3) | 2022.12.21 |
퇴직금 받는 방법(퇴직연금 IRP 계좌 개설부터 끝까지!) (0) | 2022.12.21 |
댓글